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최대 25만 원, 아빠보다 엄마 직업에 좌우된다
"사교육비 격차, 맞벌이보다 부모 직업이 더 큰 영향 준다"
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[2023년 가구 경제 및 부모 노동시장 특성별 사교육 격차 보고서]에 따르면,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맞벌이 여부가 아닌 ‘부모의 직업’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
📊 부모 직업별 자녀 1인당 월 사교육비 (2023년 기준)
부모 직업군 아버지(만원) 어머니(만원)
전문관리직 | 64.2 | 64.4 |
사무직 | 57.3 | 57.4 |
서비스직 | 52.1 | 51.0 |
생산직 | 43.9 | 39.4 |
임시·일용직 | 32.4 | 47.9 |
✅ 어머니 직종이 자녀 사교육비에 더 큰 영향
✅ 어머니가 전문직일 경우, 생산직 대비 월 25만 원 차이
초중고 사교육비, 얼마나 오르고 있나?
- 2009년: 월 38만 4000원
- 2023년: 월 55만 1000원
📈 약 43.5% 증가
10년 넘게 지속 상승 중
💰 가구 소득/자산 분위에 따른 격차
구분초등학생 월 격차고등학생 월 격차
저소득↔중소득 | 12만원 | 14.2만원 |
중소득↔고소득 | 14.5만원 | 19.8만원 |
📌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도 더 많음
🏫 특히 고소득층의 학원·과외 이용률은 84.1% (저소득층: 74.1%)
👩🔬 연구자 분석
전정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:
“사교육은 자녀의 미래 노동시장 성과를 높이기 위한 투자로, 가구의 경제력과 부모 직업 특성과 매우 밀접합니다.
사교육비 격차는 부모의 직종, 종사상 지위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.”
🔍 정리: 사교육비는 '직업의 질'이 만든다
- 단순히 맞벌이 여부보다 어떤 직업을 갖고 있느냐가 더 중요
- 특히 어머니 직업이 자녀 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이 큼
- 사교육 지출은 계층 이동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 가능
반응형